파이썬 - 데이터구조 (list, tuple, dict, set)
***파이썬 기본문법(1)**
[리스트와 튜플]
> 복수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.
(순서가 있어서 sequential 자료 구조이므로, 인덱스가 있다)
>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리스트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. ex)수강생리스트 등.
> list - mutable (생성된 후에 변경 가능)
tuple - immutable (생성된 후에 변경 불가능)
[dictionary]
> 키와 값을 갖는 데이터 구조이다. (키 값은 중복X)
> 키는 내부적으로 hash값으로 저장된다.
> 순서가 없다. 그러므로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다.
> Key와 Value의 쌍 여러 개가 { }로 둘러싸여 있다.
> 각각의 요소는 Key : Value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쉼표(,)로 구분되어 있다.
[set]
> dictionary에서 key만 활용하는 데이터 구조이다.
> 수학에서의 집합과 동일한 개념이다.
> 파이썬 2.3부터 지원된 자료형으로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한다.
> set 키워드를 이용해서 만들 수 있다.
> 빈 set 을 만드는 방법은 set() 을 이용한다.
-> list나 dict의 경우 대괄호나 중괄호로 선언할 수 있지만,
set은 dict타입과 동일한 중괄호를 사용하므로, 중괄호만으로는 생성할 수 없다.> 특징
-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
- 순서가 없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기본 데이터 타입]
> int, float, str, bool
> type() 함수로 데이터 타입 확인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string (문자열)]
> 문자 여러개가 순서대로 나열 된 것
문자열은 '(작은따옴표) 혹은 "(큰따옴표) 사이에 문자를 넣어서 생성
> 문자열 타입은 변하지 않음. 특별한 타입임.
> 문자열 저장 공간에서 같은 문자 있다면 해당 문자로 할당함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메서드체이닝 (Method Chainning)]
> 여러 메소드를 이어서 호출.
> 첫번째 함수만 . 앞에 있는 것이 주체
> 두번째 함수는 첫번째 함수의 결과값이 주체가 됨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